갱년기 골다공증 필수영양제 이것만 챙기면 되는 건강기능식품 추천드립니다. 갱년기 골다공증 필수영양제인 관절영양제에 대한 성분 함량과 가격, 구입처까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갱년기 골다공증 필수 성분
- 콜라겐 : 뼈에 시멘트 역할을 해주는 핵심성분으로 40대 이후부터 합성량이 줄어듦
- 규소 : 콜라겐을 합성해 주는 주원료로 보통 쇠뜨기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
- 비타민C : 콜라겐을 합성해 주는 주원료
- 식이유황(MSM) : 콜라겐을 만들 때 필요한 성분으로 연골과 관절 건강에 좋음
- 유청단백질 : 뼈를 지탱해 주는 근육조직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조골세포를 활성화시켜줌
- 이소플라본, DIM : 호르몬 균형을 잡아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갱년기 골다공증 영양분
비타민 K2와 비타민 D3 두성분 모두 우리 몸에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히, 비타민 D3 같은 경우는 갈수록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생선을 잘 먹지 않으며 비타민 K2 역시 칼슘대사에 중요한 성분이지만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섭취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비타민 K2와 비타민 D3를 같이 섭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던 것 같습니다.
칼슘과 마그네슘, 아연, 구리 망간(트레이스 미네랄) 중에서 칼슘은 뼈 건강에 있어서 중요한 영양소라는 것을 이제 모르시는 분들이 없을 것이고 마그네슘은 칼슘과 교환되면서 칼슘의 흡수를 도우며 갑상선 호르몬에 작용되는 조효소로 활용되면서 칼슘을 뼈로 보내주는 역할을 해 줍니다.
아연은 조골세포로, 뼈에서 칼슘을 흡수해서 뼈를 만드는 세포를 활성화 시켜주는 성분이며 구리는 우리 몸에 있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을 합성시켜 주는 조효소로 뼈에는 상당 부분이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고 망간은 SOD라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라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주면 조골세포를 활성화시켜 준다고 합니다.
갱년기 골다공증 국산 영양제
약국용과 온라인용 두 가지 구입처를 전부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약국용 땡드림 (앤큐엔에이 엠드림)
비타민 D3가 5,000ui, 병아리콩 추출분말 100ug, 칼슘 300mg, 마그네슘 300mg, 아연+구리+망간 조합 국내 제품에서 보기 어려운 100% 유기산 칼슘 마그네슘을 넣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단점은 하루 4정 섭취를 위한 가격이 높다는 것 입니다.
미네랄 부땡땡(케이투 미네랄 부스터)
2 정당 비타민 D3 2,000ui, 바실루스 낫토균 추출분말 100ug, 칼슘 220mg, 마그네슘 220mg, 아연+구리+망간 등 하루 2정만 섭취하면 되는 부분은 간편 하지만 단점이라면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많지 않은 부분입니다.
갱년기 골다공증 영양제 해외 영양제
4 정당 비타민 D3 1,000iu, 비타민 K2 200ug, 칼슘 700mg, 마그네슘 300mg, 아연+망간+규소 등 용량상 하루 3정 드셔도 괜찮다고 합니다. 비타민 K2의 함량이 좋고 규소가 들어간 부분을 장점으로 꼽을 수 있으며 단점은 구리가 함유되지 않은 부분 입니다.
4 정당 비타민 D3 1,000iu, 비타민 K2 65ug, 칼슘 1,000mg, 마그네슘 500mg, 아연+구리+망간 2정만 섭취해도 칼슘&마그네슘은 충분하며 칼슘 마그네슘 성분 자체가 굉장히 좋다고 합니다. 단점이라면 제형이 너무 크고 2정만 먹었을 때는 비타민 D3나 K2가 좀 부족한 느낌입니다.
4 정당 D3가 400iu, 비타민 K2 90ug, 칼슘 600mg, 마그네슘 250mg, 아연+구리+망간+규소(실리카), MBP 40mg 등 하루 3~4정만 섭취해도 좋으며 품질 좋은 칼슘이 들어간 부분과 실리카와 mpb가 들어간 점은 장점이지만 D3 함량이 적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 입니다. 감사합니다.
갱년기
'건강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녹톤 가격 좋아, 선물하기 딱 좋다!! (0) | 2022.09.10 |
---|---|
응급실 실비 청구 서류 무엇이 필요할까? (0) | 2022.09.07 |
호당원 프리미엄 골드 가격 대비 효과 있을까? (0) | 2022.09.02 |
콜레올로지 내돈내산 다이어트 후기 (0) | 2022.03.07 |
고혼진 가격, 효과, 성분, 부작용에 대한 사용 후기 (0) | 2022.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