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식품

응급실 실비 청구 서류 무엇이 필요할까?

uinfoshop 2022. 9. 7.

응급실 실비 청구 서류 무엇이 필요할까요? 직장인 분들의 경우 직장 근무 시간 때문에 병원 진료 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워 주말이나 새벽에 급히 어딘가가 아파야만 응급실을 방문할 수 있으나 응급실 진료의 경우 기본적으로 비용이 만만치 않음에 따라 응급실 진료 실비 보험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아보겠습니다. 

응급실 진료비 경우 가입 시기에 따라 보장이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하기에 꼼꼼하게 확인하여야 합니다. 특별히 2021년 7월 부로 시작된 4세대 실손보험 경우 응급실 진료 보장 내용이 변경되어 실비 보험 청구 전에 필히 확인을 해야 합니다.

 

 

응급실 실비 보험

This is 응급실 실비 청구
응급실 실비 청구

 

응급실 보험의 경우 실비 보험 가입 시기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사례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본인의 실비 보험과 대조해 보시길 바라며 응급실 실비 관련 키워드는 '2016년, 4세대 실비 보험, 응급환자, 비응급환자, 상급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입니다.

 

2016년 이전 가입자

2016년 이전 가입한 실비보험이라면 응급실 진료 모든 항목들에 대해 실비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보험사에서 요청하는 청구 서류만 준비해 두신다면 문제없습니다. 

 

2016년 1월 이후 가입(4세대 실손 제외)

4세대 실손 보험 제외하고 2016년 1월 이후에 실손보험을 가입하였다면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비응급 환자로 분류되었을 때에는 보험 보장이 불가합니다. 일반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을 경우나 응급환자로 분류되었을 때에만 청구가 가능합니다.

 

4세대 실손 신규 가입 또는 기존 보험에서 전환

4세대 실손보험부터는 응급실 보장 내용이 바뀌었는데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더불어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받은 비응급환자의 경우 실비 보험 보장을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비응급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이용료만 실비 보장에서 제외되었었는데 4세대 실비보험부터는 권역응급의료센터까지 포함하여 제외되었습니다.

즉, 2021년 7월부로 새로 도입된 4세대 실손보험에 새로 가입하셨거나 기존 보험을 4세대로 전환하신 분들은 이 부분에 꼭 유의하셔야겠습니다.

 

 

응급 비응급 환자 여부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수납과에서 받은 '진료비 영수증'을 살펴보면 되는데 영수증 내 급여 항목에서 '본인부담금'이 기재되어 있다면 비응급환자, 전액 본인부담금이 없을 경우 응급환자입니다.

 

 

응급실 실비보험 서류

응급실 방문 후 실비 보험 청구 서류는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 응급실 외래 진료 기록지로 총 세 가지입니다. 응급실 외래 진료 기록지 경우 응급실 진료 후 병원에서 의무 기록하며 작성하여야 하는 서류인데 해당 서류는 꼭 준비해야만 실비 보험 청구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심각한 상해 치료나 질병으로 응급실을 방문할 경우 큰 금액의 응급실 진료비가 나왔다면 보험사에서 추가 전화 요청으로 해당 응급실 외래 진료 기록지를 요청할 수 있으니 사전에 준비해 두는 것도 병원을 두 번 방문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응급실 실비 보험 가능 여부와 서류 등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

💲 추천 글